전세 계약, 사회 초년생이나, 이사를 처음 해보시는 분이라면 부담이 클거에요
저도 처음 전세 계약할 땐 설렘보다 걱정이 더 컸어요.
그래서 오늘은 제가 겪은 실제 경험과 함께,
전세 계약 시 절대 놓치면 안 되는 주의사항들을 정리해볼게요. 잘봐주세요~
✅ 1. 등기부등본은 무조건 직접 확인하기
등기부등본은 집주인이 정말 ‘진짜’ 주인인지 확인하는 유일한 문서예요.
꼭 직접 열람해서 확인해야 합니다.
- 📌 확인할 것:
- 집주인 이름과 임대인 이름 일치 여부
- 근저당권(빚)이 얼마나 잡혀있는지(채권최고액)
- 전세보증금보다 큰 대출이 있을 경우 → 위험! (단, 특약에 근저당 말소특약 필수)
✅ 2. 확정일자 받기 + 전입신고는 필수
이 두 가지는 내 돈을 지키는 마지막 수단이에요.
- 확정일자는 동사무소나 주민센터에서 임대차 계약서를 보여주면 도장 찍어줍니다.
- 전입신고는 이사 후 바로 하기!
전입신고일이 우선순위에 영향을 줘요.
💡 이 두 가지가 있어야 '대항력'이 생겨요.(집주인에 대항할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.)
즉, 집이 경매로 넘어가도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가 생깁니다.
✅ 3. 전세보증보험 꼭 고려하기
요즘은 집주인도 위험하지만 세입자도 위험해요.
집값 하락, 깡통전세 때문에 전세금을 못 받는 사례가 많습니다.
그래서 저는 이번에 ‘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험’에 가입했어요.
1~2년치 보험료를 내면,
→ 만약 집주인이 돈을 못 줘도 보증기관에서 대신 보상해줘요.
단, 허그에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, 먼저 해당 집이 보증보험 가입 한지 확인 해야 합니다. 필수!!!
가입처: 주택도시보증공사(HUG), SGI서울보증 등
✅ 4. 실사용 확인: 집 직접 둘러보고 체크리스트 작성
사진과 실제는 정말 다릅니다.
- 물 샐 곳은 없는지
- 창문, 배수구, 보일러 작동 여부
- 벌레 문제, 소음, 층간 소리 등
👉 저는 이럴 때 ‘입주 체크리스트’ 인쇄본을 들고 갑니다.
직접 체크하면서 보면 놓치는 게 줄어요.
마무리
전세는 ‘한 번 잘못 걸리면 수천만 원 손해’가 나는 큰 거래입니다.
계약 전에 꼭 체크하고, 내 돈을 지킬 수 있는 구조를 먼저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해요.
앞으로 저도 전세 관련 글이나 실사용 후기들 계속 올려볼게요.
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이나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😊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💰부동산 중개수수료, 언제 내야 할까? 모르면 손해! (4) | 2025.06.01 |
---|---|
📅 손 없는 날? 이사 날짜 잘 잡는 꿀팁! 이사달력 보는 법 정리!손 없는 날이란? (4) | 2025.05.31 |
집 구경할 때 반드시 확인할 포인트 6가지 (0) | 2025.05.24 |
부동산 등기부등본 보는 법!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핵심정리 (2) | 2025.05.23 |
🚚 이사할 때 꼭 필요한 꿀템 TOP 5 (경험에서 뽑은 추천템) (0) | 2025.05.22 |